드디어 티스토리에 가입하게 되었네요.
그래서 첫 글은 그동안 지겹게 듣고 쓰고 읽었던 경제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경제라고 하면 흔히 세계 증시, GDP, 코스닥, 코스피 등 듣기만 해도 거북한 용어를 떠올릴 수 있네요.
그 중에서 쉽지만 어려운 수요와 공급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선 수요는 demand로 단순 욕구 차원이 아닌 구매력(소득의 일부?)이 동반된 욕구라고 할 수 있어요.
쉽게 말해 경제주체(가계, 기업, 정부 등)가 어떠한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합니다.
그러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수량을 수요량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예를 들어 우리는 마트나 시장에서 보다 좋은 품질을 남들보다 더 싸게 사고 싶어 합니다.
우리는 할인하는 품목이 있으면 관심이 생기고 동일한 품목에 대해 어느 한 가게가 더 싸다면? 당연히 저렴한 쪽으로 가겠죠?
이렇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경제 원리가 있어요.
수요의 법칙: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고 할 때, 상품의 가격에 따라 상품의 수요량이 변하게 됩니다. 즉, 가격과 수요량이 서로 반비례하는 것을 수요의 법칙이라고 해요.
옆에 보이는 그래프가 수요의 법칙을 설명하고 있네요.
위에서 말한 것처럼 가격과 수량의 반비례로 우하향 곡선이 나타나요.
이렇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봅시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입니다.
바로 가격이죠. 위의 예시처럼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면 소비자들은 그 품목에 수요가 증가합니다.
여기서 좀더 깊게 들어가 봅시다.
수요곡선을 보시면 점선과 실선이 있네요. 이 곡선이 이동할 수 있다는 뜻이겠죠??
우선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경우를 알아 봅시다.
상품가격 이외의 요인이 변화로 수요량이 변화하면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합니다.
그럼 상품가격이 변화하면 그래프가 어떻게 변화할까요??
이는 수요량의 변화로 해당 그래프에서(곡선 상에서)의 이동이 됩니다.
간단하게 정리해볼게요
수요의 변화: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
수요량의 변화: 어느 한 곡선에서의 이동
수요변화의 요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소비자의 소득: 구매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입니다.
2. 선호도: 기호라고도 하는데 예를 들어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었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 확보를 하기 위해 대량으로 구매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약국의 마스크가 소진되고, 정부의 공공마스크 정책으로까지 이어졌네요.
3. 연관상품 가격: 흔히 대체제, 보완재라고 합니다. 이것도 쉽게 예시를 들어볼게요.
대체제: 사이다와 콜라, 버터와 마가린 등 용도가 비슷하며 다른 상품을 소비해도 만족도에 별 차이가 없는 경우 대체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보완재: 시리얼과 우유, 자동차와 기름 등 함께 소비할 때 더 큰 만족을 느끼는 것을 보완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연관상품이 가격이 올라간다면 수요에 변화가 있겠네요.
다음에는 공급에 대해 알아볼도록 할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