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쉽지만 어려운... 시장 편

카테고리 없음

by social- EYES 2021. 1. 30. 14:42

본문

 시장에 가면 꽈배기도 있고, 떡볶이도 있고, 핫도그도 있고 ~

 이 추억에 게임 다들 아시죠? 여기서 시장은 전통시장을 의미하는 것 같네요???

 

 경제학에서의 시장은 재화와 서비스가 거래되는 장소를 의미해요. 위에 있는 시장과 더불어 마트, 병원 등 

 소비자들이 구매력으로 소비하는 곳 어디든 시장이 될 수 있겠네요.

 

 여기서 시장은 보통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해요. 완전경쟁시장이란 수많은 소비자, 기업이 주어진 시장 가격에서 자유롭게 사고파는 시장을 말합니다. 줄여서 경쟁시장 이라고도 합니다.

 

 경쟁시장에서 특정 소비자, 기업이 파는 상품수량은 경쟁시장 전체를 두고 봤을 때 매우 미미하겠죠? (마치 우주에서의 지구라고나 할까...?) 지구가 우주를 통제할 수 없는 것처럼? 특정 소비자나 기업은 시장 가격을 스스로 변경시킬 수는 없어요. 즉, 주어진 가격 수준에서 얼마나 사고 팔지의 수량 정도는 결정할 수 있어요.

 

 위에서 말한 완전경쟁시장(경쟁시장)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시다. 크게 네 가지 특징이 나타나요.

 

 1. 많은 소비자 및 기업: 소비자와 공급자가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특정 소비자의 수요는 시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아요. (마치, 숲에서 특정 나무 찾기랄까?) 공급도 마찬가지로 공급량을 변화시켜도 시장가격에 영향을 줄 수 없겠네요. 여기서 공급자가 소비자만큼이나 많다는 것은 생산에 필요한 재료와 생산요소들을 골고루(?) 나눠 사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2. 상품 동질성: 거래되는 품목의 질적 측면에서 동일해요. 예를 들어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 포털에 검색하면 엄청 많은 플랫폼을 볼 수 있어요. 그럼 어느 한 플랫폼의 케이스가 유독 튼튼할까요? 그럴 확률은 매우 낮아요. 

 질적 측면과 더불어 판매 서비스, 사후관리 등의 서비스 품질도 상품 동질성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3. 완전한 정보: 시장 참여자들(소비자 및 기업)이 시장현황에 관해 완전한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정보 발생 시 비용 없이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가격이 변화할 시 모든 소비자들에게 전달돼야 하며, 특정 소비자가 시장 가격보다 비싼 가격으로 구매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공급자는 시장 가격보다 낮게 판매하는 일이 없어야 하는 의미이기도 하다.

 

 위의 세 가지 특징으로 완전경쟁시장에서는 한 상품에 하나의 가격만 존재하는 '일물일가 법칙'이 성립한다.

 

 4. 기업의 자유로운 진입 및 퇴거: 기업의 진입 및 퇴거에 제약이 존재하면 특정 산업에 존재하는 기업의 수가 한정된다. 이는 일부 기업이 시장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게 한다. 

 

 위 네 가지 특징은 이론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설정으로 현실적으로 이 조건들은 갖춘 시장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이는 경쟁시장 모형에서 도출된 결론들을 현실, 미래에 대한 예측에 매우 도움되고 / 경쟁시장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유도해 모든 시장형태의 표준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정을 상정한다.

 

  다음 시간에는 반대되는 개념이 불완전 경쟁시장(독과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이상 수업 끝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