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쉽지만 어려운... 시장 3편(과점)

카테고리 없음

by social- EYES 2021. 2. 1. 14:36

본문

문을 열며(드르륵), 반장 오늘 인사는 생략합시다.

 7번째 시간입니다. 전 시간에 독점에 대해 알아보았죠? 오늘은 과점입니다.

 

 과점하니까 대학교 때 입던 과잠이 생각나네요... 네~

 

 과점이란, 소수의 공급자가 지배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점시장은 당연히 소수의 대기업이 지배하는 시장을 말하겠네요.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3대 통신사 skt, kt, lg u+가 해당합니다. 그리고 항공노선(대한항공, 아시아나)도 있네요. 국내선은 이 두 개의 거대한 기업이 장악하는데 오늘날에는 저가항공사가 많아지면서 과점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도 있어요.

 

 과점의 특수한 경우 복점이라고 하는데 위의 예와 같이 대한항공, 아시아나 항공의 경우 두 개의 기업이 국내노선 시장을 석권했을 때처럼 단 두 기업만이 전체 시장을 지배하는 것을 말해요.

 

 과점의 특징

 1. 기업간 의존관계 존재

 -과점을 이루는 기업은 소수이기 때문에 한 기업이 가격, 생산량의 변화를 준 경우 타기업들의 상품수량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가격 및 생산량을 결정할 때 다른 경쟁기업들의 반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2. 치열한 비가격경쟁, 가격 경직성

 -과점기업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통한 이윤창출의 극대화 시도는 타기업들도 가격 인하를 하여 가격전쟁이 일어난다. 결국 모든 기업의 이윤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게 된다.

 

 그래서 기업들은 가급적이면 가격경쟁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판촉이나 광고, 마케팅, 상품의 차별화 등 비가격경쟁에 의존한다. 

 결국 과점시장 제품가격의 경우 다른 시장처럼 상품의 가격이 자주 바뀌지 않는 경직성을 보인다.

 

 3. 기업들의 담합, 비경쟁행위 경향이 크다.

 위에 있는 것처럼 가격경쟁의 경우 이윤이 감소하게 되므로 평화를 선택해 상호 이익을 증진하는 것이다.  공동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협정하며 여러 가지 공동행위를 취한다.

 흔히 카르텔, 기업합동 등이 해당하는데 예시로 문을 열며(드르륵), 반장 오늘 인사는 생략합시다.

 

 7번 째 시간입니다. 전 시간에 독점에 대해 알아보았죠? 오늘은 과점입니다.

 

 과점하니까 대학교 때 입던 과잠이 생각나네요... 네~

 

 과점이란, 소수의 공급자가 지배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점시장은 당연히 소수의 대기업이 지배하는 시장을 말하겠네요.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3대 통신사 skt, kt, lg u+가 해당합니다. 그리고 항공노선(대한항공, 아시아나)도 있네요. 국내선은 이 두 개의 거대한 기업이 장악하는데 오늘날에는 저가항공사가 많아지면서 과점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도 있어요.

 

 

 

 과점의 특수한 경우 복점이라고 하는데 위의 예와 같이 대한항공, 아시아나 항공의 경우 두 개의 기업이 국내노선 시장을 석권했을 때처럼 단 두 기업만이 전체 시장을 지배하는 것을 말해요.

 

 과점의 특징

 

 1. 기업간 의존관계 존재

 

 -과점을 이루는 기업은 소수이기 때문에 한 기업이 가격, 생산량의 변화를 준 경우 타기업들의 상품수량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가격 및 생산량을 결정할 때 다른 경쟁기업들의 반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2. 치열한 비가격경쟁, 가격 경직성

 

 -과점기업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통한 이윤창출의 극대화 시도는 타기업들도 가격 인하를 하여 가격전쟁이 일어난다. 결국 모든 기업의 이윤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게 된다.

 

 그래서 기업들은 가급적이면 가격경쟁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판촉이나 광고, 마케팅, 상품의 차별화 등 비가격경쟁에 의존한다. 

 

 결국 과점시장 제품가격의 경우 다른 시장처럼 상품의 가격이 자주 바뀌지 않는 경직성을 보인다.

 

 3. 기업들의 담합, 비경쟁행위 경향이 크다.

 

 위에 있는 것처럼 가격경쟁의 경우 이윤이 감소하게 되므로 평화를 선택해 상호 이익을 증진하는 것이다. 공동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협정하며 여러 가지 공동행위를 취한다.

 

 흔히 카르텔, 기업합동 등이 해당하는데 예시로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석유수출국 기구(OPEC)가 국제규모의 카르텔에 해당한다.

 

 4. 새로운 기업에 진입장벽이 상당하다.

 독점적 경쟁보다 진입장벽이 훨씬 두텁다.
 우리나라는 많은 가수들이 있지만 인기가수는 전체 가수들에 비해 매우 적은 소수이다. 인기가수(재화 및 서비스)는 대중(소비자)들이 좋아하는 매력(원재료)이 있다. 모든 가수들이 이런 매력이 있다면 더 이상 과점시장이 아니다.

 그리고 정부의 사업허가가 있어야 할 수 있는 농기계시장, 승용차, 이동통신 등의 사업이 있으며, 전략적으로는 새로운 기업의 진출 경우 기존 기업들이 가격을 낮추어 새롭게 진출할 기업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광고활동으로 기존 과점기업들은 상표가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기존 과점기업들은 소비자 개개인의 욕구에 맞춰 다양한 기호를 이미 충족시켜주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두텁다.

 

 자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입니다~

 

 쉽지만 어려운... 시장편에서는 완전경쟁시장부터, 독점 및 과점시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매우 많은 시장에서 상품을 생산, 공급, 유통 및 소비를 하고 있어요.

 

 어떤 기업군이 독점 및 과점시장인지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이상 수업 끝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