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만 어려운... 시장 3편 과점(2)
저번 시간에 이어서 과점의 여러 가지 이론에 대해 살펴봅시다.
과점기업들은 타 시장기업들과 달리 가격, 생산량을 결정할 때 타기업들의 반응을 고려한다. 즉, 눈치를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반응이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다. 다른 기업이 가격을 올린다면 똑같이 올릴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가격을 올린다 하더라도 그 인상폭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기업들의 반응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 반응에 따라 과점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1.굴절수요곡선 이론: 과점의 경직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기업의 가격조정 시 다른 기업들의 반응에 관해 가정을 한다.
가격 인하한다고 하자. 그럼 다른 기업들은 시장 유지를 위해서 같이 가격을 인하할 것이다. 그리고 다시 가격을 인상한다고 하면, 다른 기업들도 같이 올릴 것인가..
그렇지 않습니다. 다른 기업들은 가격인상을 하지 않거나 인상폭을 선두기업보다 작게 함으로써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확대를 노릴 수 있다. 즉, 가격 인하는 따르면서 가격 인상은 따르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과점기업은 현행 가격에서 꺾이는 수요곡선을 가진다.
2. 비가격경쟁이론
비가격경쟁은 광고, 차별화, 판매조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모든 기업이 마찬가지지만 자사의 제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상표, 디자인, 칼라, 특징을 독특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나 가전제품, 의류에서 두드러진다. 이러한 차별화로 고객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어 시장 확대를 노린다.
두 번째로 광고이다. 상품에 대해 홍보하는 홍보적 광고, 자사 제품 사용시 얻게 되는 이익을 고객으로 하여금 일종의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구매심리를 자극하는 사실 왜곡적 광고, 남들이 하니까 하는 경쟁기업에게 뒤처지지 않게 하기 위한 전투적 광고가 있다.
마지막을 판매조건인데 이는 사후관리 서비스, 경품, 할인 등으로 경쟁기업보다 더 나은 조건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과점시장에서의 비가격경쟁은 독점적 경쟁에서보다 더욱 치열하다.
3. 담함이론
담합은 가격 및 생산량에 있어 서로 상의하여 공동의 이익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동일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의 경쟁을 줄이기 위하여 형성한 기업연합이 카르텔이다. 서로 경쟁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가지 수단은 1. 가격 고정 2. 시장분할이 있다.
사실 카르텔은 항상 불안정적이다. 자사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싶은 욕망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카르텔에서는 협약 위반 시 제재장치가 없다면 어느 때든지 카르텔은 붕괴될 수 있다.
카르텔에 속한 기업이 많을수록 배분의 문제가 커진다. 이윤과 시장분할 등의 합의를 보기 어려워지며 고정 가격과 할당량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감독 또한 더 어려워진다.
4. 선도기업이론
과점 산업에서 한 기업의 가격 인상, 인하는 다른 기업들의 가격 선도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험을 배경으로 등장한 이론이 선도기업이론이다.
담합은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불법화이다. 이때 과점기업들 사이 묵시적 협약이 이루어져 대개 대기업이 가격 인상을 주도하면 뒤따라 간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모든 기업들이 같이 가격을 인상해 비슷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수요 감소 시 가격 하락을 결정했다면 나머지 기업들이 따라 움직여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입니다. 모르는 사람은 수업 끝나고 개별질문할 수 있도록 합시다.
다음 시간에는 일종의 눈치게임이라고 하는데 게임이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시다.
이상 수업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