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라이센스 및 프렌차이즈

일상 경영

by social- EYES 2021. 3. 8. 20:00

본문

 반가워요. 세상을 다양하게 바라보고 싶은 소셜 아이입니다.

 

 오늘은 라이센스와 프랜차이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리이센스는 앞의 FDI내용에서 라이센싱이라고 보셨을 겁니다. 그 개념입니다.

 

 우리는 매체를 통해 라이센스, 특히 프랜차이즈에 대해 많이 들어봤을 거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그렇다면 라이센싱의 기본개념인 라이센스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할게요!

 

 -라이센스(License)

 '허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업 쪽에서는 라이센스를 어떤 것에 대한 허가를 가지는 권리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어떤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허가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라이센스를 이용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진입 국가에 대한 장벽이 존재할 경우 라이센스가 유일한 진출 방법이 됩니다.

 

 개발도상국에 가까울수록 자국의 산업(유치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소유 100%의 목적인 FDI를 규제하는 편이며, 

 합작투자 및 라이센싱을 요구합니다.

 

 2. 수송비 및 상품 이동비용이 비싼 경우

 

 이때 라이센싱은 효율적인 방법이 됩니다. 예를 들어, 맥주 수입하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독일, 미국에서 맥주를 직접 수입할 수 도 있겠지만, 기술을 라이센스받아 생산한다면 굳이 직수입해 수송비용을 지불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입니다.

 

 그래서 운송비가 비싼 경우 라이센싱을 이용합니다.

 

 3. 기술 및 서비스 이전이 복잡하거나 비용적 부담이 큰 경우

 

 

 그다음으로 알아볼 내용은 프랜차이즈입니다.

 여기서 프랜차이즈는 제조업자나 판매업자가 독립적인 소매점을 가맹점으로 하여 하는 영업(출처: 지식백과)

 입니다. 즉, 본사가 가맹점에게 권리를 주는 대신 대가를 받는 형태입니다.

 

 프랜차이즈는 라이센스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지만, 강한 통제가 가능합니다.

 

 라이센스와 다르게 프랜차이즈 공여 기업(본사)이 수여 기업(가맹점)을 직접 관리하거나 통제할 수 있어요.

 

 프랜차이즈는 패스트푸드와 같은 음식점, 호텔,  편의점처럼 서비스 직종에서 많이 이루어집니다.

 

 프랜차이즈 가입 시 점포의 소유권은 가맹주가 갖게 되지만, 점포에 들어오게 되는 장비, 물품들은 공여 기업에서 일괄 공급합니다.

 

 일괄 공급한다는 것은 품질의 표준화 및 동질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거나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대표적 프랜차이즈 맥도날드

 프랜차이즈의 이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저자본으로 시장 확대를 노릴 수 있습니다.

 

 2. 표준화된 마케팅을 하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적용할 수 있어요.

 

 3. 가맹점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

 

 -이 말은 수입의 수수료를 제외하고는 가맹주의 수입이 되기 때문에 각 매장들은 수입을 증대시키기 위해 더 열심히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브랜드 통제에 대한 한계와 잠재적 경쟁자를 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이는 라이센스와 동일합니다.)

 

'일상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단속 시작  (0) 2021.03.13
스마트 팩토리(아디다스: 스피드 팩토리)  (0) 2021.03.02
스마트 팩토리  (0) 2021.02.2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