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카카오, 지그재그 플랫폼 인수?

일상 사회

by social- EYES 2021. 4. 9. 23:23

본문

반가워요. 세상을 다양하게 바라보고 싶은 소셜 아이입니다.

 

여러분들은 옷을 살 때 어떤 경로를 이용하시나요??? 직접 가서 사는 것을 선호하시나요?

 

저는 온라인을 많이 이용합니다. 요즘에는 신체 사이즈, 특정 치수를 입력하면 플랫폼에서 옷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리뷰를 참고할 수 있죠.

 

직접 가는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직접 입어봐서 옷에 대한 불확실성을 상쇄할 수 있지만 가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생각하면 여간 귀찮은 게 아니죠.

 

온라인의 경우 이러한 비용들은 극한으로 아낄 수 있지만, 직접 입어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안함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쇼핑몰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객의 사이즈와 리뷰를 분석해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어요.

지그재그(출처:한국일보, 맹하경)

 

그래서 오늘은 점점 몸집이 커지고 있는 '카카오'의 지그재그 플랫폼 인수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카카오의 여성 의류 플랫폼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 닷컴 인수 계획입니다.

지그재그를 소유한 크로키닷컴 기업 가치는 최소 1조 원 이상으로 예상하네요.

지그재그 거래액

인수한다면, 투자은행 및 IT업계에서 카카오는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크로키 닷컴의 최대주주 반열에 오르게 돼요.

 

최대한 빠르게 지분 가격 등의 잔영 협상을 마무리하여 인수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카카오는 자회사, 특수목적회사의 인수 방식을 위해 자회사 신설을 고려해 신설 회사 이름은 지그재그의 이름을 딴 '카카오 Z'로 정했어요.

 

지그재느는 2015년 설립된 지그재그의 경우 작은 의류 매장 '소호'를 모아 포털 형태로 만든 쇼핑 앱입니다.

 

여기서 '소호'는 영어의 'Small Office Home Office(소규모 사무실, 가정 사무실)'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로서, 
소규모 자영업을 뜻하며 보통은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 덕분에 가능해진 개인 사업을 뜻하는 것으로 쓰인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지그재그는 이용자 취향에 따라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고, 조건에 맞춰 4000개 이상 업체들이 보유한 제품을 한 번에 볼 수 있게 합니다. 특히나 10~20대 사이에서 두꺼운 팬층을 확보하고 있어요.

 

지그재그의 거래액은 16년 2000억 원에서부터 매해 3500억 원, 5000억 원, 6000억 원, 작년은 7500억 원까지 올라왔어요.
(국내 여성의류 플랫폼 중에서는 매출액 1위)

 

게다가 작년에는 거래수수료와 광고 등 직접적인 의류 판매와 별개로 올리는 매출인 약 400억 원으로 추정되네요... 

카카오는 지그재그 이전 이베이코리아를 인수 대상에 두고 있지만 예상과는 다른 몸값에 포기하였고 대안으로 지그재그가 고려된 것 같아요.

 

카카오의 크기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중- SNS, 스트리밍, 모빌리티, 콘텐츠, 웹 등에서 1위 자리를 계속해서 지키고 있지만, 하지만 커머스 부분에서는 마냥 웃지 못 함 / 경쟁사 네이버, 쿠팡보다 사업 확장이 더디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요.

 

카카오 커머스의 주요 수익은 카카오톡 사용자 간 쿠폰식 거래 즉, 기프티콘은 모바일로 가볍게 선물할 수 있는 디저트, 음료 등으로 상품군이 타 경쟁사에 비해 현저히 좁고 적었어요.

 

네이버와 쿠팡은 계속된 투자로 커머스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됨. 2020년 기준 국내 커머스 점유율은 네이버 18.6% / 쿠팡 13.7% 인데 반면 카카오는 2.9%에 머물러 있어요.

 

지그재그도 해당 연령 층 유입자 수가 감소해 카카오의 인수절차가 오히려 시너지 효과가 날 수도 있다는 예상입니다.

 

많은 생활서비스를 접목시킨 카카오가 쇼핑하기에서 지그재그가 추가된다면, 당연히 상호 성장은 무조건이라고 생각해요. 

 

경쟁사 SSG닷컴은 패션 역량 강화를 위해 패션 플랫폼 'W 콘셉트'를 약 3000억 원에 인수 / 네이버는 작년 9월 브랜디에 100억 원  투자로 협력관계를 유지했습니다.

 

서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소식이네요. 이상 소셜 아이였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469&aid=0000595471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15&aid=000452726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